포티어스의 매매일지

포티어스의 매매일지 - 5월 6일

포티어스 2021. 5. 7. 10:30
반응형

5월 6일 포티어스의 매매일지


 

처음으로 매매일지를 올리기 전에 몇가지 이야기를 하고 시작하려 한다.

 

포스티어는 약 10년의 해외선물 경력으로 가장 기본인 가격이평선 매매부터 수많은 매매기법을 사용하여 매매 해왔지만 지금 사용하는 매매기법보다 정확한 것은 보지 못했다. 내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매매기법은 해외선물이나 주식투자를 조금 해봤다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법한 매매기법을 응용한 것으로 차트를 수정하여 다소 정확한 보조지표를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오늘부터 매매를 진행한 날이면 간단하게 매매일지를 사용하려 한다.

 

 

그림 1. 진입 청산 포인트

 

포티어스가 사용하는 매매기법은 다이버전스 매매기법이다. 보통 추세지표라고 불리는 RSI 또는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를 이용하여 사용하는데 너무 변곡점이 난잡하게 보이는 것 때문에 정확하지 않아 보조지표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그림 1번에 보면 가격차트와 보조지표, 가격종가선으로 구분된다. 사실 파란선과 빨간선이 있는 보조지표와 녹색선으로 되어 있는 가격종가선을 보고 다이버전스를 하려 했으나 나스닥의 경우 오버슈팅이 많기 때문에 보조지표와 가격그래프를 보고 결정하고 있다.

 

빨간 화살표가 있는 부분을 보면 미장이 시작하는 10시 30분이후 가격은 급격히 하락하여 저점을 낮추고 있다 그러나 추세 보조지표의 저점은 전 저점에 미치지 못하고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렇다면 추세는 상승중이나 가격은 내려왔으므로 눌림세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매수 다이버전스라고 불린다. 그래서 포티어스는 13450부근에 있는 저항선을 기준으로 오버슈팅 10포인트를 보고 매수 진입했으며 미장시기이다보니 손절틱 21포인트를 보았다. 다행히 13422까지만 하락하고 손절틱 12틱을 남기고 다시 추세대로 상승하였다.

 

청산은 파란색 화살표 지점은 13490에서 MIT청산하였다.

이유는 추세와 반대로 슈팅이 나온 것이라 상승할 것이라 판단했지만 가격이 오르더라도 보조지표의 고점이 전 고점보다 낮은 상태에서 가격이 전고점보다 높게 오르게 되면 매도 다이버전스가 되기 때문에 하락할 수 있어 전고점 바로 위이자 저항선 바로 아래인 13490이 가장 좋은 청산 포인트라고 보았다.

 

결과는 더 상승하여 13510부근까지 올랐으나 너두 높게 익절하려고 욕심부리다가 당하는 경우가 많으니 적당하게 수익을 보는 것이 좋다

 

그림 2. 금일 거래내역

 

 

사실 보통은 저항선 2개를 기준으로 1차진입 2차진입으로 들어가지만 오늘은 한번에 진입하였다 그 이유는 매도장이 진행될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에 두번째 저항선을 깨고 내려온다면 청산해야 하는 자리였기 때문에 저항선 바로 밑이 청산 지점이라 추가 매집은 하지 않고 1차진입으로 시도하였다.

 

 

 

다이버전스 매매기법은 정방향 다이버전스, 과장된 다이버전스, 히든 다이버전스를 기준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일반 차트를 사용할 경우 진입과 청산포인트를 잡기 힘드나 포티어스가 사용하는 차트는 가격별 저항선이 그려지기 때문에 저항선을 기준으로 하면 거의 80%이상 진입과 청산 지점을 잡을 수 있어 일반 보조지표를 사용하는 것보다 성공확률이 높다.

 

오늘은 22시 15분에 매매를 시작하여 22시 40분에 일목표수익인 200만원을 한방에 달성하고 매매를 종료하였다.

 

매일 오늘만 같았으면 ㅎㅎㅎ

반응형